주식회사에 자금이 필요하면 주식이나 채권을 발행해서 자금을 마련하게 됩니다.
투자자 입장에서는 내 돈이 나간다는 측면에서는 같지만, 엄밀히 말해 다릅니다.
기업이 주식을 발행하고 자금을 모으면 그것은 기업의 '자본'이 됩니다. 투자자는 그 회사의 주주가 되는 것이고요.
주식의 조건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, 회사의 주주가 되었기 때문에 일정 부분 경영에 관여할 수도 있게 되고, 기업이 이익을 많이 남기면 배당을 받기도 합니다.
주식은 기업에게 갚아야 할 돈이 아니기 때문에, 만기일이 있지 않고 나중에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이 되거나, M&A가 되거나, 배당이 이뤄지거나, 주식 가치가 상승하여 매도를 하는 경우에 이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.
투자금보다 훨씬 높은 수익을 거둘 수도, 굉장한 손실로 원금이 손실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리스크가 높음에도 기업의 가치를 보고 투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.
반면에 채권은 기업 입장에서는 '빚'이 됩니다. 갚아야 할 돈이 되는 것이죠. 그래서 채권에는 만기일이 있고, 만기일에 정산을 진행하게 됩니다.
채권은 만기일에 정산이 되고, 채권에 명시된 조건의 범위에서 손실/이익이 발생합니다.
몇몇 프로젝트는 고정된 금리가 있어서 그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는 없지만, 차후에 정산을 받을 경우에 어느 정도를 받게 될 지 예상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주식처럼 리스크는 있지만, 비교적 장벽이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