펀딩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제품이나 서비스가 개선되었다면, 어느 정도의 개선인지에 따라 스토어 입점이 가능할 수도 있고 불가능할 수도 있어요.
정보제공고시를 수정하거나 추가하지 않아도 되는 개선이라면 스토어 입잠이 가능하지만, 더 자세한 건 아래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.
1.패션·잡화, 홈리빙
-
의류의 디자인이 동일한데 새로운 사이즈가 추가되었다면 스토어에 입점할 수 있어요.
하지만 아래처럼, 소재가 바뀌거나 색상이 바뀌었다면 스토어에 입점할 수 없어요. 정보제공고시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에요.
-
패션·잡화 카테고리의 ‘의류’ 정보제공고시는 아래와 같아요. 참고만 해보세요.
-
제품 소재
-
색상
-
치수
-
제조자 (수입자)
-
제조국
-
세탁방법 및 취급시 주의사항
-
제조연월
-
품질보증기준
-
A/S 책임자와 전화번호
-
2. 테크·가전
-
마감 등, 단순한 품질에서 개선이 일부 있다면 스토어에 입점할 수 있어요.
-
하지만 아래처럼, 정격 전압이나 소지 전력이 바뀌었거나 기능이 추가되었다면 스토어에 입점할 수 없어요. 정보제공고시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에요.
-
테크·가전 카테고리의 ‘가정용 전기 제품’ 정보제공고시는 아래와 같아요. 참고만 해보세요.
-
품명 및 모델명
-
KC인증 필 유무
-
정격전압, 소비전력
-
에너지소비효율등급
-
동일모델의 출시년월
-
제조자 (수입자)
-
크기
-
품질보증기준
-
A/S 책임자와 전화번호
3.뷰티
-
포장지나 포장지, 단상자 등 단순한 포장이 바뀌었다면 스토어에 입점할 수 있어요.
-
펀딩으로 소개되던 당시, 표시 사항의 단순 오기재를 수정했다면 스토어에 입점할 수 있어요.
-
하지만 아래처럼, 용량이나 중량이 바뀌었거나 표시 사항의 오기재를 수정한 걸 넘어 화장품 법에 따라 전성분을 변경했다다면 스토어에 입점할 수 없어요. 정보제공고시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에요.
-
뷰티 카테고리의 ‘화장품’ 정보제공고시는 아래와 같아요. 참고만 해보세요.
-
용량 또는 중량
-
제품 주요 사양
-
사용기한 또는 개봉 후 사용기간
-
사용방법
-
화장품제조업자 및 화장품책임판매업자
-
제조국
-
화장품법에 따라 기재 표시하여야 하는 모든 성분
-
(기능성 화장품의 경우) 화장품법에 따른 식품의약품안전처 심사 필 유무
-
사용할 때 주의사항
-
품질보증기준
-
소비자상담관련 전화번호
-
4. 푸드
-
포장지나 포장지, 박스 등 단순한 포장이 바뀌었다면 스토어에 입점할 수 있어요.
하지만 신선식품이라면 단순한 포장이 바뀌었어도 스토어가 아니라 펀딩으로 진행해 주세요. -
스토어에 입점을 신청한 그 해에, 펀딩으로 이미 소개된 적 있는 농산물은 스토어에 입점할 수 있어요. 쌀이나 과일, 야채 등이 대표적이에요.
-
만약 다른 해에 펀딩으로 소개한 농산물이라면 스토어에 입점할 수 없고, 펀딩으로 서포터들을 만나야 해요. 하지만 스토어에 한 번 입점한 프로젝트들은 해가 바뀌었다고 해서 자동으로 판매가 종료되지 않아요. 참고해 주세요.
-
아래처럼, 용량이나 중량이 바뀌었거나 똑같은 포장 단위를 수량을 바꾸어 제공한다면 스토어에 입점할 수 없어요. 정보제공고시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에요
-
푸드 카테고리의 ‘가공식품’ 정보제공고시는 아래와 같아요. 참고만 해보세요.
-
제품명
-
식품의 유형
-
생산자 및 소재지
-
제조연월일, 유통기한 또는 품질 유지 기한
-
포장단위별 내용물의 용량(중량), 수량
-
원재료명 및 함량
-
영양성분(의무 표시 대상에 한함)
-
유전자변형식품에 해당하는 경우 표시
-
소비자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
-
수입식품에 해당하는 경우 '수입식품안전관리법에 따른 수입신고를 필함' 문구
-
소비자 상담 관련 전화번호
-